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33

목련이 미국 남부를 상징하게 된 이유와 목련(magnolia)의 어원 이번 글에서는 목련의 어원과 관련 일화와 함께 목련이 미국 남부를 상징하게 된 이유에 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1. 목련 (1) 목련이란? 목련은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는 낙엽교목으로 크고 아름다운 흰색 꽃이 피는 나무이니다 꽃 눈이 붓을 닮아서 목필이라고도 불리지요. 꽃말은 자연애 이며, 공주가 북쪽에사는 사나이를 좋아했다는 전설이 있는데, 그 때문에 봉우리가 필 때 끝이 북쪽을 향한다 하여 북향화라는 이름또한 가지고 있습니다. (2) 목련 (magnolia) 목련은 영어로는 magnolia라고 합니다. 1703년 프랑스 식물학자 샤를 플루미에가 마르티니크섬에서 본 목련에 식물이 조직적인 분류체게를 세운 프랑스 식물학자 피에르 마뇰(Pierre Magnol)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고 합니다. 2. 미국에.. 2022. 1. 5.
반도체 관련 테마 LED 의 개념과 관련주 전망 이번 글에서는 LED의 개념에 대하여 말씀드리며 관련주 소개와 전망에 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1.LED (발광 다이오드)란? (1) 정의 및 사용처 LED(발광 다이오드)란 전류를 가하면 빛을 발하는 화합물 반도체를 뜻합니다. TV, 조명, 휴대폰, 자동차 등에 사용된다. LED는 기존 광원의 1/5의 전력으로 고휘도의 빛을 낼 수 있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광원이라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에 더하여 기존의 백열등과 형광등에 비해 수명이 4배 이상 길며 용도에 따라서 대형화, 소형화 용이하다는 특성이 있습니다 마이크로 LED : 미니 LED TV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피부 부측용 의료기기, 자율주행 센서 등에 적용되는 LED. (2) LED 생산과정 LED 는 사파이어 잉곳을 절삭하여 웨이퍼를 만들고, 웨이.. 2022. 1. 5.
환경에 관한 직접적인 규제와 간접적인 규제 이번 글에서는 환경법과 경제적 유인책 등 환경에 관한 직접적인 규제와 간접적인 규제에 대하여 다루겠습니다. 1.직접 규제(환경법) (1) 우리나라의 환경법의 생성 및 발전 1960년대 : 제 3공화국 정부가 경제 개발 5갠녀 계획을 수립하여 공업화를 추진하기 시작하며 생겨난 환경오염이 심화되었고, 이후 1963년 우리나라 최초의 환경법인 공해 방지법이 재정되었습니다. 공해 방지법 : 공장이나 사업장 또는 기계 기구의 조업으로 인해 야기되는 대기, 하천 오염 소음, 진동으로 인한 보건 위생상의 피해를 방지하여 국민 보건의 향상을 목표하였음. 하지만 규제 내용과 후속 이법의 미흡으로 인해 성과가 좋지는 못함. 1970년대 : 환경문제가 더욱 심각하게 인식되며 공해 방지법 체계의 부족함을 보완하기하여 1970.. 2022. 1. 4.
6가지 도해패턴의 유형별 정의와 활용도 이번 글에서는 6가지 도해 패턴의 정이에 대하여 말씀드리면서 각 도해 패턴의 활용처와 역할에 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1.교차, 대비형 및 전개, 추이형 도해 패턴 (1) 교차, 대비형 도해 패턴 교차형 : 공통 부분을 보여주기 쉬움, 벤다이어 그램 등. 대비형 : 반대되는 부분을 보여주기 쉬움, 입장차이 및 견해 차이 제시 등. 제휴 관계도, 개념 설명도 구성원도, 고객시래 분석도, 계층 관계도 (2) 전개, 추이형 도해 패턴 전개형 : 1~n 번까지의 기-승-전-결을 담기에 편리 추이형 : 논리의 전개가 용이함. 순서도, 순서설명도, 시간별 해설도 제조 과정도, 스케줄 등에 사용. 2. 상승, 성장형 및 순환, 반복형 도해 패턴 (1) 상승, 성장형 도해 패턴 상승, 성장형 : 화살표 또는 슬라이드의.. 2022. 1. 4.
1,2,3 단계로 나누어 지는 선진국의 환경 제국주의 이번 글에서는 환경 제국주의에 대하여 다루겠습니다. 1. 환경 제국주의 정의와 1단계 (1) 정의 환경제국주의론 : 북반구 부자들에 대한 비판적 접근이론 생태학적 관계의 불평등 해결 방안 : 생태적 제국주의 현장을 직시하며 제3세계와 제1세계의 상황적, 구조적 특징을 구분하여 환경 정치로 접근해야 함. (2) 환경 제국주의 1단계 1492년 콜롬버스의 신대륙 발견으로부터 19세기에 이르는 시기를 일컫는 말. 15세기말, 16세기초, 미주, 호주와 인접한 원주민들의 인구밀도는 거의 전멸하였다. 이는 유럽산 병원균과 유럽산 잡초들의 씨앗이 북미와 남미의 거의 모든 대초원을 정복하였기 때문에 일어난 형상이었다. 이는 원주민을 절멸시키고 유럽문명을 이식하는 계기가 되었고, 이른바 신유럽 건설의 성공으로 이어졌다.. 2022. 1. 3.
어류고갈과 물공급 민영화로 보는 환경 제국주의 및 환경에 대한 멜서스적 접근 이번 글에서는 어류 고갈과 물공급 민영하를 통하여 환경 제국주의와 환경에 대한 멜서스적 접근의 위험성에 대하여 다루겠습니다. 1. 어류 고갈에 대한 대처(봉쇄 구역 설정과 어획권 거래제) 어류 고갈에 대한 입장 : 공유재의 비극이며 과잉 인구 및 어획으로 발생한 문제라는 멜서스적 접근. (1) 봉쇄구역 설정 어획에 대하여 일정 주기, 지역에 대한 봉쇄구역을 설정하는 것. 과학, 지리적 한계 : 기술 공학 전문가와 국가 관료에 의해 주도된 정책이다.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태의 봉쇄 구역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국립어업국의 메인만 격자와 봉쇄구역과 메인만의 어부들이 제안한 봉쇄구역은 차이가 컸다. 과학 및 수학적으로 계획한 봉쇄구역은 현실성이 없다는 평이 높다. 어류 생태학이나 어부의 경험과는 거의 관련.. 2022. 1.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