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탄소 섬유의 산업구조와 국내, 글로벌, 일본의 탄소 섬유 시장 현황에 대하여 다루겠습니다.
1. 탄소섬유의 전, 후방 연관 산업 구조
(1) 후방 산업 (탄소 섬유의 원재료)
- PAN
- 피치
- 레이온
(2) 탄소 섬유 (중간재)
- 직물
- 프리프레그
- 촙섬유
(3) 탄소섬유 (복합 소재)
-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
- 탄소섬유 강화 금속
- 탄소 섬유 강화 세라믹
(4) 전방 산업
- 수송 기기
- 에너지
- 스포츠, 레저
- 토목, 건설
- 일반 산업 기계
2. 국내, 글로벌 탄소 섬유 시장 현황
(1) 국내 탄소 섬유 시장 규모
- 2015년 353.9억 원에서 2017년 421.3 억원 규모로 성장하였으며, 2021년에는 587.9억원의 시장 규모를 형성하였습니다.
- 앞으로도 욘 8.69%의 성장을 이룰 것으로 보여지며 스포츠, 레저, 자동차, 항공우주 산업을 중심으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저망됩니다.
- 차량 경량화 트랜드, 소재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부 차원의 각종 연구, 개발 지원 사업의 증가는 탄소 섬유 시장 성장의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 글로벌 탄소섬유 시장 규모
- 2017년 29.1 억달러에서 2021년 46.7억 달러로 성장하였습니다.
- 탄소 섬유 시장의 전방 산업별 시장 비중은 항공 우주 및 방위 산업 (53.5 %), 자동차 (10 %), 풍력 발전(9.7 %), 스포츠, 레저 (7.7 %), 기타 산업 (18.9 %)를 이루고 있습니다.
- 항공 우주 산업에서의 수요가 급증하며 전기 자동차 보급화에 따른 자동차 경량화의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서 탄소섬유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3. 일본의 탄소 섬유 시장 현황
(1) 일본의 Toray
- 세계 최대의 탄소 섬유 업체로,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2013년 세계 3위 업체인 Zoltek을 인수하여 핸재 생산 능력은 42,600톤에 이르고 있으며 우주 항공 분야를 비롯한 레저, 풍력발전 및 자동차 분야 등에 탄소 섬유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 Toray는 생산 능력뿐만 아니라 그 기술력에서도 세계 최고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 탄소 섬유 벨류 체인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모든 영역에서 연구개발과 사업투자를 지속하고 잇습니다.
(2) 일본의 Toho Tenax
- Toho Tenax 는 일본 Tenjin 그룹의 복합소재 사업 자회사로서 세계 4위의 탄소섬유 공급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열 가소성 수지를 사용하여 CFRP를 1분 이내에 성형하는 대량 생산 기술을 2011년 세계 최초로 개발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자동차 시장을 크게 확장하면서 기술경쟁력을 강화하였습니다.
- 자동차 부품 업체인 Continental Structural Plastics을 840억엔에 인수하면서 미국 내 완성차 제조업체와 직접 거래하고 잇습니다.
(3) 일본의 Mitsubishi Rayon
- 세계 3위의 탄소 섬유 공급 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2010년 4월 독일의 SGL과 탄소 섬유 전구체를 제조하는 MRC – SGL을 설립하엿으며 2012년 11월 독일의 탄소 섬유 직물 제조업체의 주식을 전량 인수하여 독일 자동차 기업들과의 전략 적인 제휴를 극대화하였습니다.
- 최근에는 북미 시장에서 탄소 섬유 확대를 위하여 탄소섬유 소재 부품 설계 및 제조기업인 Gemini의 인수를 결정하였으며 열경화성 프리프레그의 성형공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여기까지 탄소 섬유의 산업구조와 국내, 글로벌, 일본의 탄소 섬유 시장 현황에 대하여 다루었습니다.
'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 팩토리 산업의 정의와 목적과 특징 (0) | 2022.02.11 |
---|---|
홈에너지 관리시스템(HEMS) 시장 현황과 기술 발전 방향 (0) | 2022.02.07 |
페기물 에너지 분야의 산업 연관 구조와 국내와 세계의 현황 (0) | 2022.02.02 |
항공사 테마 소개와 관련주의 전망에 대하여 (0) | 2022.02.01 |
주식시장의 경기흐름 파악방법 (경제 성장률, 잠재성장률, 경기선행지수) (0) | 2022.01.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