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상식

유상증자의 정의와 형태

by 성오 2022. 3. 3.
반응형

이번 글에서는 유상증자의 정의와 형태에 대하여 다루기 위해서 유상증자 및 주주배정증자의 정의, 신주인수권증서의 정의, 주주배정증자, 3자 배정증자, 일반공모증자의 정의에 대하여 다루겠습니다.

 

# 유상증자의 정의

회사가 신주를 발행하고 투자자로부터 그 대금을 받아 자본금을 증가시키는 자금 조달방법을 유상증자라고 합니다. 여기서 신주란, 주식회사 증자하기 위하여 신규 발행한 후 최초 결산기가 경과하기 전까지 특정기간의 주식을 부르는 말이며, 자본금이란 기업의 소유자 또는 소유자라고 생각되는 자가 사업의 밑천으로 기업에 제공하는 금액을 말합니다.

  • 증자 : 주식을 발행해 회사의 자본금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유상증자와 무상증자가 있다.
 

# 주주배정증자의 정의

주주 배정증자는 유상증자의 네가지 방식중 하나입니다. 주주 배정증자가 진행될 때에는 주주들은 회사가 발행하는 신주를 인수할 권리를 가집니다. 주주 배정증자는 기존 주주들을 대상으로 지분율에 따라서 신주를 배정하는 방법인 것입니다.

여기서, 주주란 주식회사 사원인 지위로서의 주식의 귀속자로 실질적으로는 기업의 소유자로서 회사의 최고 의사결정 기관인 주주총회를 구성하는 구성원을 말합니다.

  • 신주 인수권 : 신주인수권이란 위에서 본것처럼 신주를 인수할 권리로, 증자를 위하여 신주가 발행되는 경우 우선적으로 인수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
 

# 신주인수권 증서의 정의

주주 배정 유상증자를 진행할 때에는 주주들에게 신주인수권증서가 발행이되며 주주들은 이 신주인수권 증자를 매매할 권리 도한 가지게 됩니다. 유상증자 신주는 시세보다 조금 할인된 가격으로 발행되며 실권등의 이유로 할인된 유상증자 신주를 인수하지 못하는 주주들은 신주인수권을 매각하여 돈을 벌어들이기도 합니다.

 

# 주주배정증자외의 유상증자

만약 회사가 주주들의 배타적인 인수권을 제한하고 주주가 아닌 타인에게 신주 청약기회를 부여하는 경우가 있을 쑤 있습니다. 이럴 때에는 회사가 정관에 주주아닌 사람에게 특정 경우에 신주를 발행할 수 있다고 미리 정해놓아야 합니다. 유상증자 중 주주가 아닌 이에게 신주 청약 기회를 주는 방법으로 이러한 방법에는 제 3자배정, 주주우선공모증자, 일반공모 등이 있습니다.

 

# 일반 공모증자의 정의

일반 공모 증자는 기존 주주를 포함하여 누구에게나 신주 청약의 기회를 주는 것으로 경쟁률에 따라서 배정받는 주식의 수가 결쟁되어집니다.

 

# 3자 배정증자

3자 배정증자란 제 3자를 신주 인수자로 정해놓고 시행되는 유상증자를 말합니다.. 특정한 소수 주주를 대상으로 신주를 배정할 때에 제 3자 배정증자라고 부르며 기업과 소수간의 특수한 이해관계가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까지 유상증자의 정의와 형태에 대하여 다루기 위해서 유상증자 및 주주배정증자의 정의, 신주인수권증서의 정의, 주주배정증자, 3자 배정증자, 일반공모증자의 정의에 대하여 다루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