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상식

기업 상장이 기업에게 주는 혜택 및 효과

by 성오 2022. 1. 27.
반응형

이번 글에서는 상장이 기업에게 어떠한 혜택을 주고, 어떠한 효과를 주는지에 대하여 다루겠습니다.

 

1. 기업에 대한 혜택

(1) 공모를 통한 유상증자 용이성 증가
  • 자본시장법 제 165조 의 6 의거
  • 상장법인은 정관이 정하는 바에 따라서 이사회의 결의로 주주의 신주인수권을 배제하고 불특정 다수인을 상대로 하여 신주를 모집할 수 있습니다.
(2) 의결권 없는 주식의 발행한도 특례
  • 자본시장법 제 165조 의 15 의거
  • 비상장법인은 의결권 없는 주식을 발행 주식 총수의 25%까지 발행할 수 있습니다.
  • 그러나 상장법인이 외국에서 주식을 발행하거나 외국에서 발행한 해외전환새채, 해외신주인수권부사채, 기타주식과 관련된 증권 또는 증서의 권리행사로 발행하는 의결권 없는 주식은 발행한도의 계산에 산입되지 않습니다.
(3) 주식배당의 특례
  • 자본시장법 제 165조 의 13 의거
  • 비상장법인은 주식 배당을 이익배당 총액의 1/2를 초과하지 못하지만, 상장 법인은 이익배당 총액에 상당하는 금액까지 주식을 배당할 수 있습니다.
(4) 주주총회 소집절차 간소화
  • 상법 제 542조 의 4 의거
  • 비상장법인의 주주총회의 소집통지는 주주총회일 2주전에 각 주주에게 서면으로 하게되어 있습니다.
  • 상장법인의 주주총회 소집통지는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이하를 소유하는 주주에 대하여 정관이 정하는 바에 따라 주주총회일 2주전에 2개 이상의 일간신문에 각각 2회 이상 공고하거나 금융감독원 또는 한국거래소가 운용하는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하여 공시함으로써 이를 갈음할 수 있습니다.

 

2. 기업 상장의 효과

(1) 필요 자금 조달의 용이
  • 유상증자, 해외 DR 발행, 전환사채, 교환사채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대규모 필요자금을 쉽게 조달가능합니다.
(2) 기업 구조조정의 원활한 추진
  • 상장법인의 불할 또는 합병등에 의하여 설립된 회사를 쉽게 상장할 수 있도록 상정 요건 정비 등 환경을 조성함으로 써 상장법인의 경영 목적에 맞는 방법으로 구조정할 수 있습니다.
     

3. 기업 상장 관련 용어 풀이

(1) 구조조정
  • 기업 기존 구조의 기능, 효율을 높이려 실시하는 구조 개혁작업
(2) 이익배당
  • 회사가 주주 또는 사원에게 이익을 분배하는 것.
(3) 의결권
  • 어떤 집단의 결의에 참가하여 의사를 표명할 수 있는 권리
  • 주주가 자신의 의사 표시를 통해 주주 총회의 공동의 의사결정에 지분적으로 참가할수 있는 권리
(4) 해외전환사채
  • 일정 기간이 지나면 사채 권자의 청구에 의하여 미리 결정된 조건에 따라 해당 회사의 주식을 전환이 가능한 사채입니다.
  • 해외에서 발행되었기 때문에 해외 전환 사채라고 부릅니다.
(5) 정관
  • 회사 또는 법인의 자주적 법규
  • 실질적으로는 단체 또SMS 사단법인의 조직 및 활동을 정한 근본 규칙.

 

여기까지 기업 상장이 기업에게 주는 혜택 및 효과 관련 용어 풀이였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