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HTML] 문서 단락 구분 태그(<br>, <p>)

by 성오 2022. 6. 28.
반응형

이번 글에서는 문서의 단락을 형성할 때에 사용하는 태그들인 p 태그와 br 태그에 대하여 다루겠습니다.

 

# 예시 상황

  먼저, 예시상황에 대하여 말씀드리면 아래 사진은 제가 우주가 가상현실이 아니라 생각하는 이유에 대하여 적어놓은 글입니다. 이 문서는 총 3개의 단락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우주는 가상현실일까 전문
html 1

 

  여기서, 현재 상황은 각 단락을 p 태그를 통하여 구분해놓은 것 까지의 상황을 가정하였으며, br 태그의 적용방법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루겠습니다. p 태그에 대해서만 간단히 설명드리면 p태그는 단락을 구분해주는 태그로 p 태그의 위아래로 여백이 1칸씩 생기게 되어 단락의 모양새를 띄게 됩니다.

 

# br 태그와 p 태그

(1) br 태그

  • br 태그는 a forced linebreak의 약어로 줄바꿈을 강제한다 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용방법은 <br>을 줄바꿈이 실행되기를 원하는 위치에 삽입하는 것으로 사용하며, 닫히는 태그 없이 단독으로 사용되는 태그입니다.
 

(2) p 태그

  •  p 태그는 paragraph의 줄임말로 단락을 뜻합니다. 우리가 문서 또는 웹페이지를 작성함에 있어서 단락으로 구성하고 싶은 영역을 이 p 태그로 지정합니다. <p> 단락 내용 </p>와 같이 사용하며, p 태그의 위 아래로는 여백이 각 1칸씩 생깁니다.
 
 

# br 태그 사용방법

  먼저, 아래 사진이 앞서 말씀드렸던 p 태그만이 적용된 html 편집기 사진입니다. 소제목을 구분함에 잇어 h 태그를 사용하지 않은 것은 br 태그의 사용방법을 말씀드리기 위함입니다.

br 태그 적용이전 html 사진
html 2

 

  여기서 우리는 1번과 3번 박스로 표시된 영역에는 br 태그를 삽입하여 소제목과 단락을 구분하고, 2번 박스로 표시된 단락에는 br 태그를 삽입하여 소제목과 단락을 구분함과 동시에 단락의 앞 뒤로 br 태그를 배치하여 단락간의 공백을 1칸씩 늘려주도록 하겠습니다.

 

  br 태그는 <br>을 원하는 위치에 넣는 것으로 사용하며, 뜻이 없는 태그이기 때문에 닫히는 태그 없이 단독으로 사용합니다.

 

br 태그 적용이후 html 사진
html 3

  br 태그를 앞서 말씀드린 위치에 삽입한 웹페이지 사진입니다. 소제목과 단락들간의 구분이 명확해졌으며, 단락들간의 공간또한 1칸씩 늘어나 조금더 가독성이 높아진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문서의 단락을 형성할 때에 사용하는 태그들인 p 태그와 br 태그에 대하여 다루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