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동방결절에서 발생하는 부정맥에 이어 심방에서 발생하는 부정맥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 부정맥의 특징
(1) 심방 조기수축
- 심박동 수 : 60~100회/min(기본 리듬에 따라 다를 수 있음)
- P파 : 조기수축의 경우 모양이 거꾸로 되거나 변형될 수 있으며, PR간격이 짧아질 수 있다.
- QRS파 : 정상이다.
- 전도, 리듬 : 전도는 정상이며 리듬의 경우 기본리듬은 규칙적이나 PAC는 불규칙적이다.
(2) 발작성 심방 빈맥
- 심박동 수 : 150~250회/min
- P파 : 모양이 변형, T 파에 묻혀 안보일 수 있다.(PR간격은 측정 불가하다)
- QRS파 : 대부분 정상이다.
- 전도, 리듬 : 전도는 대부분 정상이며 리듬 또한 규칙적이다
(3) 심방 조동
- 심박동 수 : 심방) 250~300회/min, 심실) 60~150회/min
- P파 : 규칙적인 톱니바퀴 모양(조동파)
- QRS파 : 정상적이나 불규치적일 수 있다.(P파에 비해 적다)
- 전도, 리듬 : 전도는 자극 차단 정도에 따라 2:1, 3:1, 4:1 이며 리듬의 경우 규칙적이거나 불규칙적이다.
(4) 심방세동
- 심박동 수 : 심방) 350~600회/min, 심실) 100~150회/min
- P파 : 보이지 않는다.(조동파로 보일 수 있음)
- QRS파 : 정상적이나 불규칙하다.
- 전도, 리듬 : 불규칙하다.
(5) 발작성 심실상성 빈맥
- 맥박 : 150~200회/min
- 혈압 저하, 심계항진, 호흡곤란, 어지러움증, 현기증, 실신
- 갑자기 맥박이 빨라졌다가 정상으로 돌아온다.
2. 부정맥의 원인
(1) 심방 조기수축
- 심근의 허혈, 교감신경자극제 투약, 디기탈리스의 독성, 심장 자극제 등
(2) 발작성 심방 빈맥
- 흥분 교감신경흥분제, 술, 담배, 심장질환 없이 발병하기도 한다.
(3) 심방 조동
- 심장질환(심장 비대, 삼천판막협착증, 울혈성 심부전 등)
(4) 심방세동
- 고혈압, 심장질환(울혈성 심부전, 심근경색증, 승모판 협착을 동반한 류마티스성 심질환 등)
(5) 발작성 심실상성 빈맥
- 심방과 심실 사이의 비정상적인 전기 신호 통로인 부전도로 존재
- 방실결절 회귀성 빈맥
3. 부정맥 치료
(1) 심방 조기수축
- 정밀검사, 원인 교정, 잦은 PAC와 빈맥 지속 시 디기탈리스, 프로프라놀, 베라파밀 등으로 치료한다.
(2) 발작성 심방 빈맥
- 미주신경자극, 디기탈리스, 베라파밀, 프로프라놀 투여, 심장 율동 전환술을 시행한다.
(3) 심방 조동
- 산소투여, ibutilide, amiodarone, diltiazem, verapamil 투여(심실수축 수 감소X -> quinidine, procainamide 투여 금지)
(4) 심방세동
- 심장율동전환, 방실전도 감소 약물 투여, 색전증 예방
(5) 발작성 심실상성 빈맥
- 아데노신 주사제(bolus로 투여), 전극적 심장율동전환치료를 시행한다
2022.01.29 - [생활 상식] - [1부] 부정맥의 원인과 특징 및 치료(동방결절)
[1부] 부정맥의 원인과 특징 및 치료(동방결절)
이번 시간에는 동방결절에서 발생하는 부정맥의 원인과 특징 및 치료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 부정맥의 특징 (1) 동빈맥 리듬이 규칙적이고 정상적 리듬과 동일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
csapproach.tistory.com
이상으로 심방에서 발생하는 부정맥의 원인, 특징, 치료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