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폴리에스터, 폴리아마이드, 폴리이미드의 반응과정

by 성오 2022. 3. 26.
반응형

이번 글에서는 고분자들 중 폴리에스터, 폴리아마이드, 폴리이미드의 반응식과 함께 반응과정에 대하여 다루겠습니다.

 

# 폴리에스터 반응식

폴리에스터 반응식

 

 

# 고분자 폴리에스터의 정의 및 특징

  폴리에스터는 일반적으로 x 개의 다이 올 분자와 x 개의 다이산 분자의 중축합 반응을 통해 폴리에스터 분자가 합성됩니다. 폴리에스터 분자에서 [O-R-O-CO-R’-CO] 는 반복 단위이며, 이 반복 구조를 통해 다른 고분자와 구분할 수 있습니다. 특히, [-O-CO-] 결합은 모든 폴리에스터의 특징입니다.

  일반화된 유기기 RR’에는 폭넓고 다양한 것들이 사용될 수 있지만, 반복 단위 구조에 에스터 결합이 있는 한,, 이 고분자는 폴리에스터입니다. 몰론, 반응할 수 있는 다른 작용기들이 있고, 따라서 많은 다른 종류의 축합 고분자가 존재합니다.

  • 여기서 x는 중합도이며, 고분자 사슬에서 똑같은 구슬들로서 연결된 반복 구조들의 수입니다. 때대로 사슬 길이로도 불리지만, 순수한 숫자이며 측정가능한 길이가 아닙니다.
 

# 폴리아마이드의 반응식

폴리아마이드(나일론) 반응식
폴리아마이드 반응식

 

# 고분자 폴리아마이드(나일론)의 정의 및 특징

  폴리아마이드는 축합 중합에서 또 다른 부분을 차지하는 작용기에는 아민기[-NH2]가 있으며, 알코올의 수소와 비슷하게 아민기에 있는 하나의 수소는 카복실산과 반응하여 폴리아마이드를 생성합니다.

  모든 나일론에는 [R-NH-CO-R’] 결합이 특징적으로 나타납니다. 이 결합은 또한 두 개의 아미노산이 견결될 때 나타나는 펩타이드 결합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천연 고분자의 일종인 단백질은 폴리펩타이드로 만들어집니다.

 

 

# 폴리이미드의 반응식

폴리이미드 반응식
폴리이미드 반응식

 

# 고분자 폴리이미드의 정의 및 특징

  폴리이미드는 사실성 폴리아마이드의 부분집합이지만, 다이산 단량체의 카복실산기와 아민이 반응했을 때 만들어집니다. 오쏘 위치에 있는 두 개의 산 그룹이 포함된 벤젠 고리는 하나의 아민과 축합 하여 하나의 결합을 형성하며 그 결과가 이미드 결합입니다.

  폴리아마이드나 폴리에스터에서의 다이산 기능과 이 반응에서의 다이산 기능을 비교해 보면 폴리아마이드나 폴리에스터를 만들 때의 다이산은 양 끝에 분리되어 각각 반응하는 데 반해, 폴리이미드에서의 다이산은 단일 작용기로 작용합니다.

  하나의 폴리이미드를 만들기 위해 카복실산기는 반드시 서로 가까이 있어야 합니다. 당연히 이것은 단일 결합으로만 형성됩니다. 폴리이미드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R1 작용기의 한 부분으로 또 다른 다이산이 있어야 하며, R2 작용기내에는 또 다른 아민이 있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고분자들 중 폴리에스터, 폴리아마이드, 폴리이미드의 반응식과 함께 반응과정에 대하여 다루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