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상식

일자리, 취업의 변동요인 (확실성 요인과 불확실성 요인)

by 성오 2022. 2. 6.
반응형

이번 글에서는 확실성 요인과 불확실성 요인으로 나뉘는 일자리와 취업의 변동요인에 대하여 다루겠습니다.

 

1. 일자리 변동요인의 분류

  • 시간이 흐르고, 세상이 변해감에 따라서 어떤 직종 또는 직업의 일자리는 감소하고, 어떤 직종 또는 직업의 일자리는 증가하고는 합니다.
  • 이러한 일자리 변동요인은 총 8가지로 나뉩니다.
  • 그 범주는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 변화, 대내외 경제상황변화, 기업의 경영전략 변화, 산업 특성 및 산업 구조변화, 과학기술발전, 기후변화와 에너지부족,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정부정책 및 법, 제도 변화등이 있습니다.
  • 또한 이 8가지 범주를 변동에 대한 방향의 확정성에 따라서 5개의 확실성요인과 3개의 불확실성 요인으로 나눕니다.

 

2. 일자리 변동의 확실성 요인

(1) 인구구조 및 노동인구 변화

  • 저출산, 고령화, 1인 가구의 증가 등 거시적 인구구조변화
  • 생산 가능인구 감소, 여성의 경제활동 증가, 외국인 근로자의 증가 등 국내 노동인구 변화

(2) 산업 특성 및 산업구조 변화

  • 산업구조의 고도화
  • 타 산업과의 융합 등 산업 육성을 위한 정부의 전략적 지원

(3) 과학기술 발전

  • 4차 산업혁명에 따른 과학기술발전
  • 예를 든다면 로봇화와 자동화, IOT, 자율주행, AI, 빅데이터, 3D 프린터 등이 있습니다.

(4) 기후변화와 에너지부족

  • 환경요인과 에너지자원 요인으로 인한 규제강화, 산업육성, 전문가 육성

(5)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 변화

  • 사회의 복잡화, 개인화, 생활수준의 질향상 등으로 인한 건강, 미오ᅟᅭᆼ, 여가에 대한 관심증가
  • 온라인상의 소통 증가

 

3. 일자리 변동의 불확실성 요인

(1) 대내외 경제 상황 변화

  • 세계 및 국내 경기 전망

(2) 기업의 경영전략 변화

  • 기업 생산시설의 해외이전 또는 국내로의 유턴
  • 특정분야 또는 직무의 아웃소싱, 기업 인수 및 합병

(3) 정부정책 및 법, 제도 변화

  • 각종 규제완화, 신직업 육성 및 자격제도 신설, 대학구조 조정, 복지서비스 강화 등 정부 정책에 따른 일자리 영향
  • , 제도의 변화에 따른 일자리 영향

 

여기까지 확실성 요인과 불확실성 요인으로 나뉘는 일자리와 취업의 변동요인에 대하여 다루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