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분만 중의 태아상태 사정방법

by 성오 2022. 2. 13.
반응형

이번 글에서는 분만 중의 태아 상태 사정 방법 중 하나인 전자 태아감시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 전자태아감시의 정상적 양상

기준선 태아심박수 110~160bpm이며 6~25bpm의 적당한 변이를 보인다. 심박수 증가의 경우 기준선보다 최소한 15bpm 상승하여 15초 이상 머물러 있고 임신 32주 이하에서는 10초 동안 10bpm 상승을 보인다. 또한 자궁수축의 경우 빈도는 1.5분 보다 잦지 않으며 10분에 5번 나타날 수 있다. 수축 지속 시간은 90~120초보다 길지 않으며 수축 간격은 최소 한 30초이다.

  • 60초 이내 기저심음으로 돌아오는 다양한 형태의 후기하강을 보인다.

 

# 비정상적 양상 : 빈맥 및 서맥, 변이가 적거나 없는 경우

(1) 빈맥

빈맥의 경우 최소 10분간 태아의 심박수가 160 이상인 경우를 말하며 원인으로는 산모의 열과 탈수, 심한 빈혈, 갑상샘 항진증 및 투여된 약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고 태아의 산증 및 심부정맥, 산모나 태아의 저산소증이나 혈량저하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다.

(2) 서맥

서맥은 최소 10분간 태아의 심박수가 110 이하인 경우를 말하며 다른 비정상적인 양상이 동반되지 않을 시 기준선 100~110 수준도 무방하다.

원인으로는 아두압박, 태아의 저산소증, 산증, 심부전, 제대 압박과 분만 2기 시 산모가 힘을 주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3) 변이가 적거나 없는 경우

태아 심박수의 기준선이 매끄럽고 평탄한 모양을 보이는 것으로 태아가 자고 있거나 산증을 동반한 태아의 저산소증, CNS 억제제나 국소마취제와 같은 약물의 효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다.

 

# 비정상적 양상 ; 후기하강과 가변성 하강

(1) 후기하강

수축과 관련되어 일관된 형태를 띤 점진적인 심박수 감소를 말하며 시작부터 최저점까지 30초 이상이 걸리며 최저점이 수축의 정점 다음에 오게 된다. 산모의 저혈압 및 고혈압, 당뇨병, 심한 빈혈 심장병 과도한 자궁수축, 태반 박리나 전치태반으로 인한 자궁 및 태반 기능 부전이 원인이 된다.

(2) 가변성 하강

시작과 끝이 급격하고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인 양상으로 나타난다. 60 bpm이하로 떨어져 60초 이상 지속되고 빨리 기준선으로 돌아오지 못하며 빈맥 또는 변이가 없는 경우 비정상으로 판단한다. 원인으로는 제대 탈출,, 탯줄이 목에 감김, 양수 과소, 완전한 제대 탈출은 아니나 태아와 산모의 자궁 또는 골반 사이에 있는 경우, 제대 결절로 인한 제대 압박이 있다.

 

이번 글에서는 전자 태아감시를 통한 태아 심박수 사정에서의 정상적, 비정상적 양상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