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무릎관절치환술 대상자의 수술 전과 후 간호

by 성오 2022. 1. 24.
반응형

관절염 및 무릎 손상 시 시행하는 무릎관절치환술의 수술 전·후 간호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1. 무릎관절치환술의 정의

  • 관절염 혹은 외상으로 인한 무릎 손상 시 보조기 및 약물치료가 효과적이지 않을 시 시행하는 수술적 치료로 인공관절을 삽입하는 수술이다.

 

2. 무릎관절치환술 수술 전 간호

  • 목발이나 보행기에 대한 설명과 걷는 동작 교육한다.
  • 수술부위 면도와 비누 등으로 세척한다.
  • 항생제를 정맥주사 하여 감염 합병증 대비한다.
  • 보철에 대해 소개하고 필요한 교육자료를 제공한다.
  • 수술 전 자가수혈법, 혈액회수법을 통해 수술 중이나 수술 후 수혈이 가능하다.

 

3. 무릎관절치환술 수술 후 간호

(1) 수술 후 간호

  • 통증관리 및 합병증 예방을 위한 간호가 중요하다.
  • 수술 받은 다리가 짧아지거나 회전되는 증상을 보일 시 이는 탈구의 증상일 수 있으므로 주의 깊게 관찰 해야한다.
  • 탈구 예방 : 흔한 합병증으로 완전 탈구가 올 수 있어 마취 회복 후 바로 눕혀 머리를 약간 올려주고 다리의 내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전 배게나 부목을 적용한다.
  • 감염 예방 : 수술 부위의 체온 상승, 배출액 과다와 냄새 등을 주기적으로 관찰한다.
  • 출혈과 빈혈 : 배액관을 통하여 나오는 분비물의 양과 색등 양상을 사정하고 헤모글로빈과 헤마토크리트를 주기적으로 검사하며, 빈혈 예방을 위한 조혈제를 투여하기도 한다.
  • 신경혈관의 문제 : 수술 후 PCA pain buster를 통한 통증관리와 활력징후와 하지로 가는 순환기능을 사정한다.

(2) 수술 후 다음날

  • 침상 밖 가동을 격려하며 건측 다리로 서도록 하고 수술한 다리에 체중이 가해지지 않도록 조심한다.
  • 의자에 앉을 시 환츠 다리를 베개등으로 거상한다.
  • 무릎 고정장치를 통해 기동을 도울 수 있으며 너무 조이거나 느슨하지 않도록 하며 수술 후 2~10일 후에 제거한다.

(3) 수술 후 1~2일

  • 다리 곧게 올리기 운동, 사두근 힘주기 운동을 시작하여 근육의 강도 및 기능을 사정한다.
  • CPM(지속적 수동운동기구)를 통한 무릎을 천천히 부드럽게 구부리고 피는 운동을 한다.

(4) 수술 후 3~7일

  • 독립적 침대 출입가능, 90° 각도로 무릎을 구부리고 펼 수 있다면 퇴원하도록 한다.
  • 몇 달 동안 기동을 위한 보조기가 필요하다.

 

무릎관절치환술 이후 감염, 출혈, 탈구를 예방과 이동 시 보조기구 사용 및 무릎을 구부리고 천천히 구부리고 펴는 등의 운동이 필요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