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각종 뇌손상 및 뇌졸중의 정의와 차이점

by 성오 2022. 1. 27.
반응형

각종 뇌손상 및 뇌졸중의 정의와 차이점에 대하여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각종 뇌손상 및 뇌졸중( focal injury vs diffuse injury)

(1) focal injury
  • 타격 등에 의한 직접적 충격에 의한 TBI 또는 혈관 폐쇄에 의한 허혈성 뇌졸중과 같이 손상된 공간 범위가 한정적인 손상
(2) Diffuse injury
  • 부딪힘 없이 관성에 의한 발생하는 TBi 또는 출혈 등에 의해 발생하는 출혈성 뇌줄중과 같이 손상 부위가 광범위한 또는 널리 퍼진 손상

 

2. 각종 뇌손상 및 뇌졸중 (EDH vs. SDH vs. ICH)

(1) EDH
  • EDH는 머리뼈와 경질막 사이에 발병하고, 관자엽-중간수막동맥이 관련혈관이다.
  • 증상은 무의식 이후 의식명료기간이 관찰된다.
  • CT모양은 볼록렌즈이다.
(2) SDH
  • SDH의 발병위치는 경질막과 거미막 사이이며, 관련혈관은 연결정맥이다.
  • 점진적으로 두통과 혼동이 증가하고 CT모양은 초승달 모양이다.
(3) ICH
  • ICH는 뇌실질 조직에 일어나는 출혈을 말한다.
  • 뇌내출혈은 충격-반층에 의해 뇌실질 내 어느 부위에도 생길 수 있다.
  • 주로 이마엽과 관자엽에 호발하며, 혈종의 크기 및 위치에 따라 치료방법이 결정된다.

 

 

3.. 각종 뇌손상 및 뇌졸중

(1) contusion vs. concussion
  • 국소 뇌손상에서 가장 일반적인 것은 뇌타박상 contusion,
  • contusion은 단순히 뇌진탕보다 증상이 심한 두부외상이 아니라, 출혈, 괴사조직, 경색 등이 혼합된 병터를 말하며, 다시 말해 뇌에 멍 bruise이 든 것을 의미함
  • contusion은 충격이나 반충격, 또는 출혈된 부위의 실질조직에서 발생한다. concussion은 후향시억상실을 동반한다.
(2) ICP
  • 성인의 두개골 내부는 뇌, CSF, 혈액의 세 가지로 채워져 있는 일정한 용적의 용기에 비유했으며, 어느 한 부분의 용적이 증가하거나, 또는 제 4의 물질에 의해 용적 증가가 있을 경우 ICP가 상승한다.
  • 정상 ICP5-10mmHg이며, 이 보다 증가할 경우 뇌혈류량을 감소시켜 허혈성뇌손상을 일으킨다.
(3) decorticate rigidity vs. decerebrate rigidity
  • decorticate rigidity 겉질제거 경직은 RST 때문에 팔의 굽힙이 나타난다.
  • 팔다리자세와 몸통자세의 변화, 큰 소리의 잡음이나 통증 같은 외적 자극에 의해 특징적 자세는 증가됨.
  • 시간이 지남에 따라 Spasticity로 대체됨
  • 후유증 : 근육수축(muscle contracture)
  • decerebrate rigidity: 중간뇌 손상이 발생되고, , 하지가 폄 현상이 나타남

 

이번 글을 통해 각 뇌손상 및 뇌졸중 증상을 알아보고 그 증상에 따라 발생되는 각종 발병위치, 경직 및 강직을 알 수 있었습니다.

 
반응형

댓글